가 지난 24~25일 이틀간
한국무역협회 강원지역본부(본부장:홍승범)가 지난 24~25일 이틀간 강릉 세인트존스호텔에서 ‘2025 상반기무역실무집중교육’을 진행했다.
이날 교육에는 수출 초보기업 및 예비 수출기업 임직원 40여명이 참석했다.
홍승범 강원지역본부장은 “미국의 관세정책에.
있다”며 “경제효율성과 경제안보 사이의 균형을 새롭게 설정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대중국 수입 증가, 대미국 수출집중…무역양극화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대 중반부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은 1300억~1600억 달러 수준에서 정체된 반면, 수입은 한중 FTA.
대미 수출 증가세도 미국 정책에 따라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미무역흑자가 일부 품목에집중돼 있어 관세 표적이 되기 쉽다.
최근 미국은 자동차, 가전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예고했는데, 한국의 주력 수출.
오는 1일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셰프초비치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집중적이고 깊은 논의를 진행해 왔다"며 "수요일(2일)과 목요일(3일) 그들과 만나기를 희망하며 일정을 계획 중"이라고 말.
KDI 정성훈 선임연구위원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촉발된 한미 통상이슈가 마무리된다고 해도 미중 양국에집중되면서 나타난 우리나라무역구조 취약성은 그대로 남아있다"며 "무역다변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경제외교, 통상협력과 기업차원의 지원책이 병행돼야.
국가 기준 수출 집중도가 가장 높고, 국가 기준 수입 집중도는 일본과 함께 가장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이 같은무역집중현상으로 인해 경제 안보 차원에서 취약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선 국내 제조업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졌다.
품목에서의 수입 확대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대미국무역수지 개선은 자동차 및 부품, 반도체·전자기기, 기계류·생활가전.
높을수록 국가의 수출입이 소수의 국가 또는 품목에집중됐음을 알 수 있다”며 “우리나라의 국가 기준무역집중도는 일본.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 증가와 특정 품목의 대(對)미 수출집중등이 미래 산업 경쟁력 악화 등 다층적인 위험을 야기할 수.
관세 협상이 긍정적인 결과로 마무리되더라도 불균형적인무역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TP) 가입 추진을.
한국은 6개 국가(한국, 일본, 중국,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의무역집중도(무역이 소수 국가에 비대칭적으로집중될수록 그 국가는 상대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 상태에 빠진다는 개념)가 두드러졌다.
반면 중국의 경우 2018.
확대, 저임금화 현상이 동반되고 있으며 미국에 대한 수출집중은 통상 압박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점에서 향후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도 커진다.
보고서는무역의존도가 높아진 만큼 기존의 효율성 중심무역정책에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